전체 글20 Spring의 Transaction Spring에서의 Transaction 스프링에선 트랜잭션을 아래 2가지 개념으로 다룬다. 물리 트랜잭션 논리 트랜잭션 물리 트랜잭션은 커넥션을 통해서 실제 데이테베이스에 반영되는 작업 단위이고, 논리 트랜잭션은 로직과 엮어서 구성하는 작업 단위라고 보면 된다. 여러 개의 논리 트랜잭션을 묶어 하나의 물리 트랜잭션을 완성하며, 모든 논리 트랜잭션이 커밋되어야 물리 트랜잭션이 커밋된다. 하나의 데이터를 만들거나 읽어들이기까지 여러 논리적인 과정을 거친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ransactional 스프링은 트랜잭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Transactional을 사용한다. 트랜잭션 관리를 모듈화한 Spring의 대표적인 AOP이다. AOP이기 떄문에 마찬가지로 Proxy 패턴으로 동작한다. 트랜.. 2024. 1. 12. AWS 자격증 2024. 1. 10. Java 참조 좀 더 이해하기 쉬운 참고 자료 정리 Java 8 Lambda Expression 개념 및 구조 이펙티브 자바 한 번 읽고 ➡️ [스프링으로 시작하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chapter 4 2023. 10. 8. ISMS란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정보보호 관리체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기업들에 부여하고 있는 정보 보안 관리 인증 제도를 말한다. ISMS 인증제도는 기업이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성과 안정성을 갖춘 관리/운영 체계를 가졌음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해킹 방지는 물론, 경영상 정보 보호의 법적 준거성을 확보하게 하고 법적인 상황에서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 ISMS 인증 항목 ISMS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서면 심사와 현장 심사를 통해 많은 항목들을 점검해야 한다. 몇 가지를 예로 들면 아래와 같다.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동의 비밀번호 마스킹 처리 오류시 정확한 원인이 드러나선 안됨 일정 횟수 비밀번호 오기입시 계정 잠금(일.. 2023. 5. 4. 이전 1 2 3 4 5 다음